안녕하세요 :)
오늘은 제조 중소기업이라면 꼭 확인해야 하는 2026년 중소기업 혁신바우처 1차 지원사업 소식을 정리해왔어요.
매년 인기 있는 지원사업이라 이미 많은 기업이 관심을 갖고 계신데요.
올해는 일반 바우처, 중대재해예방, 탄소중립 경영혁신, 재기컨설팅까지 총 4개 분야로 운영되고, 기업당 최대 5천만 원 규모의 서비스 바우처를 받을 수 있습니다.
특히 컨설팅·기술지원·마케팅 등 실제로 기업 운영에 꼭 필요한 항목을 직접 선택해 받을 수 있다는 점이 큰 장점이죠!
이번 글에서는 지원대상, 지원내용, 보조율, 신청방법, 제출서류, 주의사항까지 꼭 필요한 부분만 친절하게 정리해 드릴게요.
사업 준비하시는 데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😊
1. 사업 목적 및 개요
이번 사업은 제조 중소기업의 혁신역량 강화를 목표로, 기업이 필요로 하는 전문 서비스를 ‘메뉴판’ 형태의 바우처로 제공하는 방식입니다.
- 예산 규모: 652억 원
- 지원 방식: 기업당 최대 5천만 원 이내(바우처 유형별 한도 상이)
- 사업 기간:
- 일반: 선정 후 ~ 2026년 7월
- 중대재해/탄소중립: ~ 2026년 9월
- 재기컨설팅: ~ 2027년 10월
2. 신청 대상 기업
① 일반 바우처
- 제조업(C업종) 영위
- 최근 3년 평균 매출 140억 원 이하 소기업
- 컨설팅·기술지원·마케팅 3분야 중 선택 신청 가능
② 중대재해예방 바우처
- 제조업 영위 중소기업
- 중대재해 예방 컨설팅(10백만 원 이상)을 필수로 포함해야 하며 관련 기술지원 추가 선택 가능
③ 탄소중립 경영혁신 바우처
- 제조업 영위 중소기업
- 탄소저감이 필요한 10대 고탄소 업종 적극 지원
- 탄소중립 컨설팅(10백만 원 이상) 필수
④ 재기컨설팅 바우처
- 경영 애로기업을 대상으로 재창업·회생·워크아웃 등 맞춤형 컨설팅 지원
3. 신청 제외 대상
다음에 해당하면 신청할 수 없습니다.
- 국세·지방세 체납
- 휴·폐업 기업
- 불건전 오락용품 제조업
- 동 사업 공급기업 또는 특수관계자
- 최근 5회 이상 혁신바우처 지원기업
- 2025년 동사업을 아직 수행 중인 기업
- 과제 내용이 기존 정부지원사업과 중복될 경우
4. 지원 내용 및 프로그램 구성
각 바우처는 분야별 서비스 카테고리를 바탕으로 구성됩니다.
1) 일반 바우처 (3개 분야 / 8개 프로그램)
- 컨설팅: 경영·기술·AX·DX 전략(15~50백만 원)
- 기술지원: 시제품 제작, 시설구축, IP기반 기술사업화, 인증 시험(최대 30백만 원)
- 마케팅: 제품 디자인, 브랜드, 홍보물 제작 등(20백만 원)
2) 중대재해예방 바우처
- 필수: 안전관리체계 구축·공정안전·건강장해예방 컨설팅
- 선택: 시제품 제작, 안전장치 제작, 시험·인증 등(최대 40백만 원)
3) 탄소중립 바우처
- 필수: 탄소수준진단 및 공정효율화 컨설팅(최대 50백만 원)
- 선택: 에너지 효율화, 저탄소 인증·시험 등
4) 재기컨설팅 바우처
- 진로제시: 기업상황 처방, 재창업, 사업정리 지원
- 회생컨설팅: Pre-회생, 법원회생, 워크아웃 컨설팅
5. 정부지원금 보조율
기업 평균 매출에 따라 차등 지원됩니다.
- 3억 이하: 85% 지원
- 10억 이하: 75%
- 50억 이하: 65%
- 140억 이하: 45%
※ 중대재해·탄소중립은 1,800억 이하까지 참여 가능
※ 지역에 따라 5~15%p 우대 적용 (농어촌·인구감소지역 등)
6. 신청 기간 및 방법
- 신청 기간: 2025.11.12 ~ 12.2 18:00
- 재기컨설팅: 예산 소진 시까지 수시
- 신청처: 혁신바우처 플랫폼 www.mssmiv.com
- 필요 인증서: 사업자 명의 공동인증서 + 대표자 개인 공동인증서
7. 제출 서류
필수 제출 누락 시 즉시 탈락이므로 꼭 준비해야 합니다.
- 사업 신청서
- 정보제공동의서
- 사업계획서
- 국세·지방세 완납증명서
- 최근 3개년 재무제표
- 사업자등록증명원
8. 평가 절차
- 서면평가 → AI진단·현장평가 → 지역위원회 → 최종선정
- 가점: 원자재 수입영향 기업, 소공인 직접지구, 중소기업 밀집지역, 지역혁신공모 선정지역 등(+최대 5점)
9. 바우처 사용 절차
① 수요기업-중진공 협약
② 바우처 발급
③ 공급기업과 서비스 계약
④ 사업 수행
⑤ 정산 및 완료보고

정리하며
2026년 중소기업 혁신바우처는 제조기업의 경쟁력 강화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인기 사업입니다.
올해는 중대재해·탄소중립 분야의 비중이 커졌고, 지역 우대정책도 강화되었기 때문에 해당 지역 소재 기업은 훨씬 유리하게 참여할 수 있습니다.
'중소기업지원(정부정책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중소기업 혁신바우처 작성 시 주의사항 총정리 (0) | 2025.11.22 |
|---|---|
| 2025 vs 2026 중소기업 혁신바우처 완전 비교|달라진 점·강화된 기준·실무자가 꼭 봐야 할 변화 (0) | 2025.11.18 |